본문 바로가기
Master R/M.Env

지구 평균 기온 17도를 넘었다는 것의 의미

by MasterR 2023. 7. 5.

Master RYU | 지구 평균 기온 17도란, 떨어지지 않는 평균 기온, 엘리뇨란, 엘리뇨가 한바도에 미치는 영향, 평균기온 1.5도 이상 올리면 발생하는 일

 
 지금 평균 기온이 17도를 처음 갱신했다는 기사를 접했습니다. 지금 전 세계는 지구라는 친구가 적으로 변하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구 평균 기온이 17도를 초과했다는 것이 왜 위험한지를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 지구 평균 기온 17도란
파리 기후 협약에 따라 전세계 195개국 국가들이 산업화 이전보다 평균 기온보다 1.5도 이상 높아지지 않도록 노력하기로 결의했습니다. 
하지만 최근 6월부터 평균 온도가 기준 값보다 1.5도 높은 상태로 계속해서 유지되고 있으며, 7월 관측된 평균 기온 17.1도는 그 기준 값 1.5도를 상회하는 것을 물론 2016년 8월 최고 기록이었던 16.92도를 넘어선 것입니다. 그리고 2016년 8월을 생각하면 올 8월에는 더욱 올라갈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것이며 지속해서 1.5도를 넘는 것은 물론 새로운 최고 온도를 갱신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이미지 출처 : climate.copernicus.eu

 

  • 떨어지지 않는 평균 기온

 위의 그래프를 보면 전반적으로 기온이 상승하는 과정에서 일시적으로 온도가 올랐다고 판단할 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아래 이미지와 같이 그래프의 Y축을 산업시대 이후 기온 상승폭으로 두고 1.5도에 라인을 그어서 보면 일반적으로 4월부터 지구의 평균 기온이 1.5도 기준선에서 하락하는 패턴을 보였으나 2023년에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climate.copernicus.eu

 
 물론 이에 대해서 코로나 종식에 따라 산업 활동이 활발해지고 엘리뇨 발생 가능성에 따라 일시적으로 높아지는 것이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하지만 최근 2015년에도 강력한 엘리뇨가 발생했지만 지금과 같이 1.5도 선을 넘은 것은 아니었습니다
 

올해 5월 엘니뇨 조건이 갖춰졌다. - NOAA

반응형
  • 엘리뇨란 
 무역풍이 약화됨에 따라 남미 연안 차가운 물이 상승하지 못해 동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상태로 지속되는 현상을 이야기 합니다. 엘리뇨가 발생 시 지구 평균 온도는 약 0.2도 상승하며 한번 발생한 엘리뇨는 9~12개월 지속되며 2~7년마다 발생합니다.
엘리뇨의 발생으로 공기가 고온 다습해지고 더 많은 열이 대기로 방출됨에 따라 지구가 더욱 따뜻하게 됩니다.  

이미지 출처 : 기상청

 
 엘리뇨는 자연적인 현상이고 발달은 9~12개월 지속됩니다. 하지만 이미 예전보다 따뜻해진 해수면 온도는 강력한 엘리뇨가 발생할 가능성을 높히게 됩니다. 그리고 엘리뇨가 발달한 해보다 끝나는 해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2015년 슈퍼 엘리뇨가 발생하고 2016년 지구 평균 온도 16.92도를 넘었던 것처럼 올해 발생한 엘리뇨는 2024년에 엄청난 더위를 가져다 줄 것을 예상하게 됩니다. 
 

  • 엘리뇨가 한반도 기후에 미치는 영향
7~8월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강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9월 강수가 감소하고 기온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입니다. 
11~12월 강수가 증가하고 기온이 상승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2023.07.31 - [Master R/M.Env] - 강해지는 엘리뇨(El Nino)는 재앙인가 아니면 치유인가

 

강해지는 엘리뇨(El Nino)는 재앙인가 아니면 치유인가

MASTER RYU 2023. 7. 31 엘리뇨, 엘리뇨는 이상현상인가?, 엘리뇨는 정기적으로 발생하는가?, 라니냐는 뭔가요?, 엘리뇨가 발생했다는 것을 어떻게 아나요?, 엘리뇨의 영향 2023년 4월 미국국립해양대기

alicemoza.tistory.com

 


 많은 기후 관련 기관과 학자들이 최고 평균 온도를 갱신한 현재의 상태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우려하고 있습니다. 
 

이 지표는 사실상 지구 생태계에 대형 사고다 - 기후변화연구소 선임연구원
2027년 안에 지구 평균 기온이 66%의 확률로 1.5도 기준점을 넘을 것이다 - 세계기상기구(WMO)

 
 유럽의 새로운 지구 관측 시스템  Copernicus의  Climate Chage Service에서는 현재 지구의 평균 기온은 1.22도에 이르렀고 2035년에 1.5도에 다달를 것을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올해와 내년의 지구 온난화의 가속화에 따라 그 시기가 조금은 더 빨라질 수도 있을 겁니다. 
 

이미지 출처 : cds.climate.copernicus.eu

 
 지구는 점점 더워지고 있고 앞으로는 계속해서 최고점을 갱신할 것으로 예상이 됩니다. 지구 기온을 1.5도 이상으로 올리는 것을 막는 이유는 1.5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스노우볼처럼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기온이 상승하게 될 것이고 이런 기온 상승은 기후 재앙을 가져다 줄 것이며 올라간 기후를 이제는 더 이상 인간의 힘으로는 막을 수 없게 될 것을 우려하기 때문입니다. 
 

  • 지구 기온을 1.5도 이상으로 올리게 되면 발생하는 일
여름철 평균 온도가 높아짐
가뭄 발생 가능성이 높아짐
폭우가 쏟아질 가능성이 높아짐
눈이 덮힌 면적이 감소됨
해수면이 높아짐
태풍이 발생할 가능성이 증가됨

 
 올 해 더위와 비로 인해 많은 피해 받지 않기를 바라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