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ster R/M.Life

여름 에어컨 사용!! 전기요금 얼마나 나올까요?

by MasterR 2023. 6. 28.

Master RYU 2023.6.28 | 한전파워플래너를 이용한 실시간 전기 요금 확인, 계절 별 전기 요금, 전기세 계산, 여름철 10시간 에어컨 가동 전기 요금, 한전플래너 알람기능

 

 장마가 시작되고 나니 이제 우리나라는 더 이상 에어컨이 없으면 살 수 없는 나라가 되어 버린 것 같습니다. 

막상 에어컨을 틀면 시원하지만 끄면 금방 덥고 습해 지니 조금 이라도 더 에어컨을 틀고 싶은 마음은 굴뚝같지만 전기요금이 걱정이 됩니다. 

그래서 오늘은 여름 에어컨을 사용할 때에 예상되는 전기 요금이 얼마나 될지 확인해 볼 수 있는 한전 파워플래너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가정에서 에어컨만 전기량을 측정하기가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에어컨은 집안밖의 상황에 따라 에어컨의 전력 사용량이 같은 온도로 설정해 두어도 차이가 발생합니다. 저는 이런 복잡한 것을 고려하지 않고 한전에서 제공하는 파워플래너를 사용해서 실시간 전기 사용량을 측정하여 정해진 시간동안 에어컨을 틀었을 경우 예측되는 전기사용량과 전기요금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한전 파워플래너란?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 전력 사용량, 요금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PC에서는 웹페이지를 통해서 서비스를 확인할 수가 있고 모바일에서는 웹페이지 혹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서 서비스를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먼저 더 자세한 이야기를 하기 앞서 한전 파워플래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서비스가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는 가구에 설치된 계량기가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전력계량인프라(AMI) 계기여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계량기일 경우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가 없습니다. 

 

한전 파워플래너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집에 설치된 계량기가 AMI 계기여야 합니다. 

  • 한전 파워플래너 사용 가능 여부 확인 방법
웹페이지에서 pp.kepco.co.kr로 접속하셔서 한전 파워플래너 서비스 가능여부 확인 항목에서 한전에서 할당한 고객번호를 입력하여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고객번호의 경우 문자메시지로 전기요금 내역을 받을 경우 문자 메시지 내에서 확인할 수가 있으며 확인이 어려울 경우 한전으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한전 고객센터 연락처 : 지역번호 + 123

한전플래너 웹 홈페이지 우측 하단의 서비스 가능 여부 확인 항목을 통해서 이용할 수가 있다.

 

 모바일 화면과 웹페이지 화면에 차이는 있지만 주요한 기능은 큰 차이가 없어 웹페이지 기준으로 이야기를 드리겠습니다. 

 

 한전 파워플래너에 접속하면 가장 처음 만나는 화면이 스마트뷰 화면입니다. 스마트뷰 화면에서는 이번달 전반적인 전기 사용에 대한 내용을 보여줍니다. 다만 예상되는 요금의 경우 모바일과 웹페이지가 차이가 있어 보이는데 모바일이 금액은 맞는 것 같습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좌측 웹페이지는 예상 요금이 55,910원이고 우측 모바일에서는 109,382원으로 나옵니다.

한전플래너 스마트뷰

 

 한전 플래너를 통해서 더 자세히 알아보기 전에 현재 가정 전기요금 정책을 알아 보겠습니다. 

 

한전은 23년 5월 16일 한전에서 전기 요금을 인상했습니다.

 

16일부터 전기요금이 kWh당 8원, 4인 가구 한 달 전력 사용량을 332㎾h라고 가정할 경우 올해 초보다 월 전기요금이 약 3000원 늘어나게 된다. 

 

반응형
  • 계절 별 전기 요금
여름이 다른 계절에 비해서 전력 사용량 할증 구간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여름의 경우 동일한 전기를 사용할 경우 전기세가 다른 계절보다 저렴하게 나올 수가 있습니다. 
여름 기간(7.1~8.31)
전력 사용량 요금(원/kWh)
300kWh 이하 사용 120.0
301~450kWh 214.6
450kWh 초과 307.3
여름 제외 기간(1.1~6.30, 9.1~12.31)
전력 사용량 요금(원/kWh)
200kWh 이하 사용 120.0
201~400kWh 214.6
401kWh 초과 307.3

 

 간단히 전기세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전기세 계산
네이버에서 '전기세'를 검색하고 상단에 나오는 전기요금 계산기를 이용하거나
한전 전기 요금 계산기를 이용하면 조금 더 정확하게 알 수가 있습니다. 네이버에서 '한전전기요금계산기'로 검색하여 전기세 계산 할 수가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네이버보다는 한전 전기 요금 계산기를 이용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직접 계산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가 있습니다.
6/1~6/30일 동안 400kWh를 사용했다고 가정하면
200kWh X 120원/kWh = 24,000원
200kWh X 214.6원/kWh = 42,920원
24,000원 + 42,920원 = 66,920원
청구되는 전기 요금 중 전기량요금은 66,920원이 됩니다. 
전체 사용량의 할증 구간 금액으로 사용량을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400kWh을 사용했다면 200kWh까지는 그 구간 금액을 그리고 초과한 나머지 200kWh를 해당 구간의 할증 금액을 계산하고 더하면 됩니다. 
그리고 가정에 청구되는 최종 전기세에는 기본요금과 기후환경요금, 연료비조정액, 지상파수신료 등이 추가되는데 사용량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나 대략 이만원 정도 더 붙는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자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한전 파워플래너와 같이 이번 여름 전기세가 얼마나 나올지 알아보겠습니다. 

한전 파워플래너에 들어가면 실시간 사용량을 알수가 있습니다. 

한번플래너 항목

 

 저희의 경우 최근 이틀 동안 하루에 10~12시간 정도를 에어컨을 사용합니다. 최근 이틀 동안 사용한 내용을 확인해 보겠습니다. 

한전 파워플래너 실시간 사용량 일별 항목을 선택하시면 한달 간 일별 사용량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확인해보니 에어컨을 틀었던 어제 하루 동안 사용한 전기량이 일주일 전보다 9kWh 정도 더 사용했습니다. 

6월 27일 23kWh - 6월 19일 14kWh = 9kWh

6월 26일과 27일 에어컨을 10~12시간 틀었던 날의 평균이 20kWh이라고 생각하고 한달로 계산하면 약 600kWh이 됩니다. 지난 달에 400kWh이었는데 600kWh이라니.. 많긴 합니다. 

 저희 집에 경우에는 전기세 검침을 이전 달 18일부터 이번 달 17일까지 사용하므로 절반 정도는 여름 계절 아닌 금액으로 계산이 됩니다. 

 

 어떤 분들은 1일로 변경하면 요금을 덜 낼 수 있다고 하지만 18일로 했을 경우 6/18~7/17일, 8/18~9/17일로 나눠져서 계산이 되기에  지금과 같은 날씨에서는 개인적으로 1일보다는 18일이 더 효율적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만약 6월과 9월 에어컨 사용이 없다면 1일로 변경하는 것을 추천하고 6, 9월에 에어컨을 가동할 경우 1일로 변경하면 6,9월 전기세가 많이 나오게 됩니다.

 

  • 여름 기간 하루에 10시간 에어컨 가동 시  전기 요금 
 집마다 차이가 있겠으니 하루에 10시간 에어컨 가동 시 하루에 평균 20kWh의 전기를 사용한는 것을 가정하여
한달 30일 기준으로 600kWh을 사용했다면 
전기 요금은 전력량 요금 114,285원 + 기타 요금 및 세금 33,495원 = 147,780원

 

 다른 기간 동안 평균 400kWh을 사용하는데 나오는 전기 요금이 9만원 정도면 약 6만원 정도 추가가 되는 것 같습니다. 

 

작년 여름 비슷하게 사용했는데 한번 확인해 볼까요? 

한전파워플래너 월청구요금

 15만원 정도 나왔네요. 저의 예상과 큰 차이가 없습니다. 

 

 제 경우 20평형 이상의 인버터형 에어컨이며 26도로 맞춰놓고 12시간 정도 틀어둡니다. 저녁이 되면 무풍으로 변경을 합니다. 에어컨 가동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자주 켰다가 끄지 않는 것입니다. 아래와 같이 에어컨은 켰을 때 전력 사용량이 가장 큽니다. 

한전파워플래너 실시간사용량

 다가오는 여름철 한전 파워플래너를 통해서 집에서 사용하는 전력량을 확인하고 적절한 사용량을 체크하신 뒤에 합리적인 사용을 통해 시원한 여름 보내시길 바랍니다. 

 

 추가로 한전파워플래너에는 알림 설정 기능이 있습니다. 알림 설정을 해두면 내가 원하는 전기 용량 사용 이후 부터 알림을 받을 수가 있습니다.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도 동일한 기능이 있습니다. 

 

  • 한전파워플레너 알림 설정
사용 목표를 450kWh로 설정하고 80%, 90%, 100% 초과 알림을 설정할 경우, 360kWh, 405kWh, 450kWh을 초과할 때마다 알림을 보내줍니다. 100% 초과 후 5%마다 알림을 설정해 두면 450kWh 초과 이후 약 22kWh 초과 시마다 알림을 보내줍니다. 누진단계 2단계 초과 시 알림을 설정해 두면 여름철에는 450kWh 초과시 알림이 오고 1단계 초과 시 알림을 설정해 두면 여름철에는 300kWh 초과 시에 알림이 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