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ster R/M.Life

[네트워크]공유기 DDNS 사용법

by MasterR 2012. 12. 4.

 모자장수입니다.

오늘은 DDNS에 대해서 글을 적어본다... 혹시 집 밖에서 집에 설치된 공유기에 접속할 경우가 있을까?? 내가 집에 없는 동안 누군가가 나의 무선 공유기에 접속해서 몰래 인터넷을 사용하지는 않을까??ㅋ 음.. 그럼 이럴 경우 어떻게 공유기에 접속하지??

뭐지?? 의문점은 많은데 정확하게 답이 없다면!!! DDNS를 사용하자^^

 우리가 집에서 인터넷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인??IP가 필요하다. 물론 이 글을 읽는 사람들은 대부분이 공인IP가 뭔지 알고 있을 것으로 알고 있겠지만 혹시 모르니... 정말 쉽고 잘 설명된 자료에 링크를 걸어둔다. 공인 IP는 특정 기관에서 관리하고 판매하는데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형태의 IP는 다 팔려서 팔지 않는다....ㅠㅠ 그리하여 우리가 집에서 많은 인터넷 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서 많은 공인 IP를 받아야 하고 그러기 위해서는 우리는 돈을 추가로 지불해야 한다. 또한 인터넷을 서비스하는 업체는 더 이상 IP를 구매할 수 없기 때문에 IP수량이 그리 넉넉하지 못하여 효과적인 IP사용을 위해 IP를 자동으로 할당해 준다^^

 만약 집에 공인IP를 자동으로 할당받지 않고 자신이 집적 설정해서 넣는 곳은 DDNS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ㅋ 

아래와 같이 자동으로 IP를 받는 사람들이여~ 모두 DDNS를 설정하자~

 자동으로 할당받는 IP로 인해 공유기에 접근하기 위한 IP가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우리는 DDNS를 이용해서 쉽게?? 공유기에 접속할 수가 있다.

 자 그럼 이제부터 어떻게 설정하는지 알아보자.

다들 공유기에 접속할 수는 있을 것이다.. 라고 생각하지만. 자 공유기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일단 자기 IP정도는 알아야 한다^^

시작 버튼을 누르고 실행 혹은 검색창에 cmd.exe를 눌려보자^^

그리고 아래와 같이 cmd창이 뜨면 ipconfig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서 현재 내가 사용하고 있는 IP정보를 찾아보자~

음.. 나는 192.168.0.200을 사용하고 있군...

이렇게 IP를 알게 된 이후에 이제는 공유기에 접속해 본다. 내가 사용하고 있는 IP는 192.168.0.200이고 공유기를 접속하기 위한 IP는 192.168.0.1이다~ 궁금해요?? 궁금하면 500원~^^

 자 그럼 공유기에 접속해 볼까?? 

우리집 ipTIME 기종이 N804이군.. 처음 공유기를 접속하게 되면 위와 같은 창이 뜬다~ 요즘 새로 구매한 ipTIME의 경우는 다 같을 것이라 믿는다^^. 나중을 위해서라도 처음 접속했다면 계정 설정 정도는 해둔다~^^ 예전에 설정된 계정이 갑자기 생각이 나지 않는다면!!! 살포시 뒤에 Reset 버튼을 10초가량 누르고 띄면 공유기가 초기화 되니 너무 걱정하지 않기를...

 자 그럼 본격적으로 DDNS를 설정해 보자~

 처음으로는 인터넷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지 확인해 본다~ 첫페이지에서 관리도구를 누르고 들어가면 바로 확인할 수가 있다^^ 만약 이게 정상적으로 연결이 되지 않았다면 다 필요 없다....ㅠㅠ

  자 왼쪽 메뉴에서 고급설정을 눌려주고~ 오호~ 고급설정을 누르면 왠지 내가 되게 잘하는 듯한 기분이~ ㅋㅋ

DDNS를 눌러본다~ 오~ 이건 뭐지?? 서비스 공급자 호스트 이름.. 사용자 계정,,,, 사용자 암호...ㅠㅠ 눈물나게 뭐가 많다..

하지만 아래 설명을 읽어보면 어렵지가 않다.. 쉽고 간편한 ipTIME이 제공해주는 DDNS를 이용하고~ 호스트 이름?? 호스트 이름은 iptime.org로 끝나야한다네~ 사용자 계정?? 이메일 주소를 입력하고~ 오직 한 개만 사용할 수가 있네?? 

자~ 그럼 test니깐~ 그냥 막 적어본다~^^ 

이건 추가적으로 설정해야 하는 부분인데 내가 공유기에 접속하기 위해서 외부에서 접근 시 사용해야 되는 포트를 지정해야 한다~ 포트?? 이건 또 뭐지?? 쉽게 설명하면 우리가 사용하는 모든 인터넷 서비스는 포트를 이용해서 통신을 한다.  일반 사용자 눈에는 이런 포트는 굳이 보일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서비스는 포트가 정해져 있고 굳이 우리가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서 포트까지 넣지 않는다. 웹서비스는 80, FTP 서비스는 21,22등등 이렇게 정해져 있다... 우리는 이렇게 정해져 있는 포트가 아닌 다른 포트를 원격 관리 포트로 사용해야 한다~

하지만 규정으로 정해져 있지 않는 포트는 보안 상 인터넷 서비스 제공 업체에서 막는 경우가 많다. 그러하니 내가 하고 싶다고 막 넣으면 안되는 경우가 허다하다....ㅠㅠ 가장 쉬운 포트는 일반적으로 8080포트를 사용하면 대부분 잘 동작한다^^

 자 그럼 8080으로 설정하고~

이젠 모든 설정이 완료가 되었다.. 자 그럼 주소창에 http://test.iptime.org:8080 를 넣어보자~ 

우와~ 잘 열린다~ ㅋㅋㅋ

자 이와 같이 우리가 굳이 공인 IP를 알지 않더라도 우리가 등록한 DDNS를 이용하면 우리가 네이버나 다음에 접근하듯이 주소창에 우리가 설정한 호스트이름을 넣으면 외부에서도 쉽게 접속할 수가 있다^^

 참 쉽죠?? 나중에 이렇게 설정한 DDNS를 어떻게 활용할지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그럼 오늘은 여기까지~ 안녕~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