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aster R/M.Env

알기 쉬운 태풍의 강도와 크기 분류

by MasterR 2023. 8. 9.

Master RYU 2023. 8. 9.

태풍이란, 태풍의 강도, 태풍의 크기, 기상청 태풍 상세 정보

 

 안녕하세요. Master RYU 입니다.

최근 들어 태풍에 대한 소식이 많이 들려옵니다. 태풍 소식을 듣다보면 태풍의 강도는 '강'이며 크기는 '중형'이다라는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오늘은 이 태풍의 강도와 크기와 그것과 관련된 내용을 조금 더 알기 쉽게 이야기 해보려고 합니다. 

 

  • 태풍이란?
 태풍은 일반적으로 해수면 온도가 26.5도 이상의 해상에서 발생하며 중심 부근의 최대 풍속이 17.2m/s 이상의 강한 폭풍우를 동반한 특정 지역에서만 발생하는 기상 현상입니다. 
태풍은 위치 별로 불리는 이름에 차이가 있는데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서태평양의 국가에서는 태풍이라고 부르며, 북미와 남미 지역에서는 허리캐인이라고 부르며, 인도양과 남반구에서는 사이클론이라고 부릅니다. 
국가에 따라 태풍이 발생하는 시기에도 차이가 있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일반적으로 7~10월에 많이 발생합니다. 

 

  • 태풍의 강도
 태풍의 강도라고 함은 시간 당 이동하는 공기의 속도에 따라 분류가 됩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일반적으로 'm/s'의 단위를 사용하며 Knots 혹은 km/h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 풍속은 약 10m 상공에서 10분 동안 측정한 값을 기준으로 이야기를 합니다. 
우리가 태풍이라고 분류하기 시작하는 17m/s의 의미는 '1초에 17m를 이동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생활을 예로 초당 17m/s의 속도는 자동차 속도 기준으로 61km/h와 동일합니다. 
이런 태풍의 강도는 우리나라에서는 태풍, 중 태풍, 강 태풍, 매우 강 태풍, 초강력 태풍으로 총 5개로 구분을 하며 태풍을 관측하는 나라에 따라 태풍을 구분하는 강도와 명명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미국의 경우 Category 1, 2, 3, 4, 5 이런 식으로 강도를 구분합니다. 
태풍 구분 태풍 강도 최대 풍속 강도에 따른 피해
m/s km/h Knots
열대 저압부   17.1 이하 61이하 33이하  
태풍 - 17.2 - 24.5 62 - 68 34 - 47 간판 날아감
중(normal) 24.6 - 32.6 89 - 117 48 - 63 지붕 날아감
강(strong) 32.7 - 43.7 118 - 156 64 - 84 기차 탈선
매우 강(very strong) 43.7 - 54.0 157 - 193 85 - 104 사람 날아감
초강력(super strong) 54.1 이상 194 이상 105 이상 건물 붕괴

 

태풍의 강도, 출처 : 기상청

 

반응형

 

  • 태풍의 크기
 태풍의 크기는 강풍 반경을 기준으로 구분하며,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태풍의 크기를 강풍반경과 폭풍반경 2가지로 구분하여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강풍 반경 : 태풍 중심으로부터 풍속 1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반경, 반경 단위는 km
폭풍 반경 : 태풍 중심으로부터 풍속 2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반경, 반경 단위는 km
반경은 반지름이라고 하며 원의 중심에서부터 경계까지를 의미합니다.
크기 구분 강풍 반경(km)
소형(Small) 299 이하
중형(Medium) 300 - 499
대형(Large) 500  - 799
초대형(Extra-large) 800 이상

태풍의 크기 구분, 출처 : 기상청

 

 조금만 알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태풍 정보를 보고 태풍의 현재와 앞으로의 상태를 알 수 가 있습니다. 

아래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태풍 상세 정보입니다. 아래 URL을 선택하시면 바로 접근할 수가 있습니다. 

https://www.weather.go.kr/w/typhoon/ko/weather/typhoon_02.jsp

 

상세정보 > 태풍정보 > 태풍 > 날씨 >기상청

 

www.weather.go.kr

 위 URL로 접근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태풍 카눈 태풍 상세 정보, 출처 : 기상청

 위 이미지 상의 태풍은 2023년 7월에 발생하여 우리나라를 통과하는 태풍 카눈의 상세 정보입니다. 화면의 구성은 현재 지도와 태풍이 이동한 경로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으며 좌측 상단에 다른 정보를 추가로 볼 수 있도록 노출 옵션이 위치해 있으며, 우측에는 태풍의 시간별 강도, 반경, 이동속도 정보를 알려줍니다. 

 

  • 기상청 태풍 상세 정보 - 좌측 상단 옵션
태풍위치 70% 확률 반경 - 해당 옵션을 활성화하면 지도 상에 연노랑색으로 표시가 되며 태풍은 연노랑색 범위로 이동할 확률이 70%이상이라는 의미입니다.
 강풍 반경 - 해당 옵션을 활성화하면 지도 상에 연한 파랑색으로 표시가 되며 태풍 중심으로부터 풍속 1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반경을 의미합니다.
폭풍 반경 - 해당 옵션을 활성화하면 지도 상에 진한 파랑색으로 표시가 되며 태풍 중심으로부터 풍속 2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반경을 의미합니다. 
  • 기상청 태풍 상세 정보 - 우측 항목
태풍의 강도와 반경 그리고 이동속도 정보를 보여줍니다. 
우측 상단에 그래프와 표 그리고 다른 태풍의 정보 등을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아래는 우측 항목만 별도로 캡쳐했습니다. 우리가 앞서 태풍의 강도와 크기에 대해서 내용을 알아봤습니다. 그 내용을 기준으로 2023년 8월 9일 22시 기준으로 카눈은 최대 풍속이 35m/s이므로 태풍의 강도는 '강'이며, 태풍 강풍 반경이 350km 이므로 태풍 크기는 '중형'입니다. 

기상청 태풍 상세 정보, 출처 : 기상청

 

 올 여름 태풍의 발생하는 상황이 심상치가 않으며 많은 기상 학자들은 기상 온난화로 인해 태풍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합니다. 이번 카눈의 우리나라 관통은 어느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으며 어떤 피해가 발생할지 아무도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개개인이 태풍에 대해서 조금 더 정확하게 알 수 있다면 뉴스를 통해 내용을 확인하기 보다는 기상청을 통해서 태풍의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가 있습니다. 그리고 기상청은 태풍의 정보를 국민들이 보다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현재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기상 예보가 정확하지 않다고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하고 있지만 우리 나라는 세계에서 7번째로 독자 위성 보유국이며 세계에서 몇 안되는 글로벌 중기 기상 예보를 하는 기상 강국입니다. 아직은 기존의 기상 예보 강국과 비교하기에는 부족하지만 한국형 기상 모델로서 우리나라의 기상 정보를 앞으로는 더욱 개선하여 국민에게 사랑받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반응형